PM
-
[프로젝트] 기능 명세서 작성하기 (1)PM 2024. 3. 20. 00:52
프로젝트 시작 후, 기능 명세서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로 했다. IA를 작성하려는 과정에서, 무턱대고 작성하기엔 서비스의 규모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기능 명세서와 스토리보드의 필요성을 느꼈다. 기능 명세서 서비스 기획에서 기술적 지식이 가장 요구되는 과정이 바로 기능 명세서 작성이다.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개발할지 정의해야 한다. 프로젝트가 시작되기 전이기 때문에 100% 정확할 필요는 없다. 요구 사항에 따라 계속 수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기능 명세서는 화면 설계서에 붙여서 작성하는게 일반적이지만, 기능이 많아지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분리해서 작성하기로 했다. 초안을 작성하는 느낌으로 Notion을 이용해 Web, App 기능 명세서를 작성해 보기로 했다. 전체적인 기능, 화면별 기능..
-
[프로젝트]Jira를 활용한 Kanban(칸반)과 Scrum(스크럼) & 프로젝트 관리PM 2024. 3. 18. 20:47
블로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프로젝트 관리하는 도구에는 Jira, Asana, Trello 등이 있는데, 요즘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Jira를 사용하기로 했다. 프로젝트의 워크플로우 방식을 선택하는데, 칸반과 스크럼 등의 선택지가 있다. 선택하기 전에, 칸반과 스크럼에 대해 알아보자. 칸반(Kanban) 간판의 일본식 발음. 눈에 보이는 기록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많이 알려진 Scrum(스크럼)에 비해 Kanban(칸반)은 조금 더 규범적이지 않고, 규칙이 적은 개발 방법론이다. 칸반의 핵심 특성 업무 흐름의 시각화 진행 중 업무 제한 흐름 측정 및 관리 명시적 프로세스 정책 수립 - 칸반을 사용하면 모든 이해 관계자가 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영향을 볼 수 있고, 칸반이 제..